Information Tech./Solution

Bar-code 원리와 기본개념

Jasonw 2010. 10. 29. 20:03

먼저.. 국내에서 익히 보아온 일관된 바코드의 모양을 떠나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살펴본다.
참고로, 아래 그림은 일본의 d-barcode.com (Design Barcode Inc.)에서 그려낸 작품들이다.


 문자나 숫자를 나타내는 검은 바와 흰 공간의 연속으로 Bar와 Space를 특정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이진수 0과 1의 비트로 바꾸고 이를 조합하여 정보로 이용하게 된다.

 무작정 이렇게 만들어진 줄무늬를 그냥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인위적으로 규칙을 만들어 사용하게 되는데, Symbology라고 명칭되는 barcode language 정의 규칙에 의하여 사용된다. 

  바코드는 logic의 기본인 0과 1의 비트로 이루어진 언어의 하나로, bar의 두께와 space의 폭에 따라 (폭의 비율이 다름) 여러 종류의 코드 체계를 가지게 된다. 

 인쇄된 바코드를 빛의 반사를 이용하여 바코드 인식장치에 반사시키면, 인식장치로 비춰진 빛의 음영부위를 해석하게되고, 해석된 음영부위의 전기신호는 데이터로 변조되어 데이터로 재생되며, 이 재생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송하는 것 일체를 바코드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 Analog 파형

빛(Light Source)의 반사에 의한 강약을 Photo Sensor로 받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

- Digit 파형 Analog의 신호를 Digit신호 즉, 0인가 1인가의 여부로 변환.

(Decode회로 및 변환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컴퓨터가 해독 가능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뒤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방식에 의해 컴퓨터로 전송 처리)










 Bar Code의 인식은 읽어들이는 장치(Reader Type)의 종류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으나 기본적인 인식원리는 동일하다.

Pen Type: 바코드의 좌에서 우로 한번에 긁듯이 reading하면 파형이 발생.
CCD Type: 바코드에 접촉하는 것만으로 CCD Sensor와 반전 증폭회로 등에 의하여 파형이 발생.
Laser Type: 반사경이나 프리즘에서 기계장치를 통하여 고속으로 beam을 주사한 후 파형이 발생.

===========================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코드는 크게 두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UPC와 KAN이 바로 그것인데, 설명은 다음과 같음.

1. UPC(Unversal Product Code)
  - 만국공통코드라고 불리울 정도로 많이 사용. 
   일반적인 상품에 많이 사용하며  바코드 맨 앞에 '0'이라고 쓰여있는데 이를 '상품부문번호'라고 함.
   바코드 밑에 숫자가 있는데. 앞의 5자리는 '제조회사 코드'이며, 뒤에 5자리는 '상품 코드'.

2. KAN(Korean Artical Number)
  - 한국코드라고 하며, 한국에서 만들어 생산한 물품에 사용.
    국제표준인 EAN(Europen Article Number)에 가입한후 제정한 국내에서 사용하는 국제적 바코드 명칭 
  - 표준인 13자리 바코드와 단축8자리 코드를 병행사용
  - 표준13자리: 처음 3자리는 국가번호(대한민국 코드는 880) 
                      다음 4자리는 제조회사나 판매원
                      다음 5자리는 상품품목정보(상품코드)
                      마지막 1자리는 바코드가 올바른지 검증하는 체크비트
  - 단축 8자리: 처음 3자리는 국가번호
                     다음 3자리는 제조회사나 판매원
                     다음 1자리는 상품정보
                     마지막 1자리는 체크비트.

   (제조회사나 판매원에 대한 코드번호는 한국유통정보센터(
http://eankorea.koreannet.or.kr)에서 각 제조회사/판매회사에 부여) 
   (상품정보코드 5자리는 00000~99999 까지 10만개, 1자리일경우 0~9까지 10개 의 코드번호를 각 회사내에서 임의대로 부여가능)

  - 체크비트는 별도 검증: 일반적으로 12 , 7자리를 채워주면 바코드를 출력해주는곳에서 해당 바코드의 체크비트를 더해서 출력.
  - 바코드 검증방법:
http://www.gs1kr.org/ean/eu_system/check.asp
  - ISBN 이나 우편번호 바코드나, 문서의 무단복제를 막는 워터마크 같은것도 바코드의 일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