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sonw 2011. 5. 21. 14:54



에너지사용자가 에너지절약을 위하여,
기존의 노후화되었거나 저효율로 운전중인
에너지사용 시설을
고효율
에너지사용 시설로 개체 또는 보완하고자 하는 의사는 있지만
기술적 또는 경제적 부담으로 사업을 시행하지
못하고 있을 때,

ESCO가 에너지사용자에게
에너지절약 시설의
설치에 따른 에너지절약 효과를
보증하는 것을 전재로 사업을 수행하고,
에너지사용자는 에너지 절감 비용으로 투자비 전액을 분할 상환함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사업.

- ESCO :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25조 및 동법
시행령 제30조의 규정에 의한 장비, 자산 및 기술인력을 갖추고
           에너지
관리공단에 등록한 업체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제25조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지원)
   ① 정부는 제3자로부터 위탁을 받아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업을 하는 자로서 지식경제부장관에게 등록을
     한 자(이하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이라 한다)가 에너지절약사업과 이를 통한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는 사업을 하는
     데에 필요한 지원을 할 수 있다.<개정 2008.2.29>
      1. 에너지사용시설의 에너지절약을 위한 관리·용역사업
      2. 제14조제1항에 따른 에너지절약형 시설투자에 관한 사업
      3.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에너지절약을 위한 사업
   ② 에너지절약전문기업으로 등록하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장비, 자산 및 기술인력 등의 등록기준을 갖추어 지식경제부장관에게 등록을 신청하여야 한다.<개정 2008.2.29>

-에너지이용합리화법 시행령
제30조(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등록 등)

 ① 법 제25조제1항에 따라 에너지절약전문기업으로 등록을 하려는 자는 지식경제부령으로 정하는 등록신청서를
   지식경제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② 법 제25조제1항에 따른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등록기준은 별표 2와 같다.

- 에너지이용 합리화법 시행령 [별표 2]
[별표 2] <개정 2009.7.27>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등록기준(제30조제2항 관련)                                                       
              


                비고                                                                                                 
                1.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의 등록구분은 에너지절약 투자시설의 설비 종류에 따라 1종과 2종으로 구           
                분하며, 2종은 열설비를 다루는 열분야(2종 열)와 전기설비를 다루는 전기 분야(2종 전기)로 구분          
                한다.                                                                                                
                2. 기술인력 중 기술사는 해당 분야의 박사학위 소지자(2008년 8월 28일 이전에 박사학위를 취             
                득한 자만 해당한다)로 대체할 수 있고, 기사는 동일 분야 산업기사 또는 에너지관리공단에서 인           
                정한 동일 분야 에너지진단사로 대체할 수 있으며, 기능사는 동일 분야 기사 또는 산업기사로 대체         
                할 수 있다.                                                                                          
                3. 한 사람이 2종류 이상의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한 종류만 기술능력을 갖춘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