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마추어무선사, HAM의 어원
내가 가진 취미 중에 한 가지..
그 중에 '아마추어무선통신'이라는 것이 있고, 이를 행하는 사람을 햄(HAM)이라고 하는데..
누군가 아주 잘 설명하여 정리 해 놓은 글이 있어서..
편집 좀 하고 올려 놓으니...
이해를 하는 정도로 나누시기를..
2004. 4. 12. wrote on blog.naver.com/jasonw
*** 햄(HAM)이라는 용어의 유래 ***
Image from Yahoo.com; Western Historic Radio Museum
HAM이라는 영어단어는 여러가지 뜻이 있는데, 그 중에 '서투른 배우'라는 뜻이 있다.
이런 뜻의 유래는, 아주 오래 전에는 메이크업을 하는데 햄의 지방(fat)을 사용하였는데, 이때 이렇게 화장을 하던 '서투른 배우'를 hamfatter라고 부르다가 ham으로 줄여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여기에서 유래되어 아마추어 무선사도 직업적인 무선사가 아닌 서투른, 초보단계의 무선사이므로 그들을 호칭하기 위하여 서투른 배우의 뜻이 있는 햄(HAM)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는 설(說)이 있다.
또 다른 설로서는, 1908년 미국의 하버드대학 단체무선국의 운영자 즉, 오퍼레이터(Operator)들이 운용한 무선국의 호출부호, 즉 그들을 불러낼 때 사용하는 명칭이 HAM이었으므로 그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한다.
그 당시, 하버드대학 단체무선국의 운용자인 'ELBERT. S. HYMAN', 'BOB ALMAY', 'PEGGY MURRAY'라는 3명의 이름을 따서, 처음에는 그들의 무선국을 「Hyma Alay Murray」라고 하였으나, CW교신(모르스부호를 이용한...)에서 이러한 긴 이름으로는 교신에 어려움이 많아, 그 이름 중 2글자만으로 「HY-AL-MA」로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멕시코 국적의 선박 중에 'HYALMO'라는 이름을 가진 배가 있어 가끔 교신 중에 혼돈이 되는 바람에, 드디어 1909년에 그들 이름의 첫 글자만으로 HAM이라는 무선국 이름을 작명하여 사용하게 된 것에서 유래되어 오늘의 햄(HAM)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그렇다면 왜 하필이면 하버드대학 단체국의 이름인 HAM이 오늘날 아마추어 무선을 지칭하는 용어로 되었는지에 대하여는 다소의 역사적인 배경을 이해하는 것이 좋겠다.
1900년대 초기에는 전파의 사용을 규제하는 법규가 없어, 아마추어 무선사들은 그들의 호출부호와 사용 주파수를 자기 마음대로 정할 수 있었고, 또한 그들이 연구, 개발한 기술로써 상업국보다 강한 전파를 송출하게 되어 버렸으니, 아마추어 무선국에 의한 상업 방송에 전파방해 등의 문제가 대두되어 아마추어 무선의 활동을 규제하려는 '무선활동 규제 법안'이 미국 의회에 제출되게 된다.
이 때 하버드 대학 단체무선국의 멤버인 ELBERT. S. HYMAN은 의회에 제출된 문제의 '무선활동 규제 법안'을 주제로 한 졸업 논문을 쓰게 되었는데, HYMAN은 지도교수의 권유로 그의 논문의 사본을 그 법안 심의위원 중의 한 사람인 DAVID. L. WALSH위원에게 송달하게 된다.
그 졸업논문을 받아 본 WALSH 상원위원은 HYMAN에게 의회의 법안 심의 위원회에 출석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하도록 요청하였으며, HYMAN은 의회에 출석하여 아마추어 무선에 대한 설명과 아울러, 만약 이 법안이 통과되었을 때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감당해야할 제반 규제와 면허세 등의 경제적 부담으로 인하여, 아마추어 무선국의 활동이 위축되고 드디어는 폐국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호소하게 된다.
그 후 이 법안이 의회에 상정되었을 때 의원들은 HAM이라고 하는 하버드 대학의 단체무선국과 아마추어 무선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결국 이들의 노력으로 상업 방송국들의 위협으로부터 아마추어 무선국을 보호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것을 계기로 미국에서는 하버드대학의 아마추어 단체무선국 HAM이 아마추어 무선국에 대한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으며, 그 이후 미국인들은 이 「HAM」이라는 하버드대학의 단체 무선국을 아마추어 무선국과 관련짓게 됨으로써 무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아마추어 무선과 HAM을 동일하게 생각하게 되어, 아마추어 무선을 HAM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정설로 받아 들여 지고 있다.
그러나 햄의 어원이야 어떻든, 전 세계의 HAM들은 인류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전파를 매개체로 하여 교신을 하고 있으며, 더구나 HAM들이 쓰는 주파수대는 단파(SW; Shortwave)를 사용하여 소출력의 전파로 다른 상업방송에 영향을 주지 않고 지구의 반대편까지 교신이 가능하게 되었다.
햄들이 전파를 통하여 서로 만나게 되면 국경, 나이, 직업 등 모든 사회적 지위를 초월하여 순수한 친구로서 대화를 나누게 된다.
세계의 평화와 국제적인 우정, 그리고 무선 통신의 끝없는 개척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국경 없는 세계인의 모임인 햄의 세계는 오늘도 여러분의 참여를 고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