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son's Beyond Right
X-Internet brief 본문
<Source. /blog.naver.com/leejhq1999/11681014 at 2006/06/13>
I. X인터넷 개요
1) X인터넷 정의
- 2000년 10월 포레스터 리서치의 CEO가 자사 자사 웹 사이트에 “MY View : X인터넷”이라는 단문을 기재한 것에서 시작
- excutable Internet or extended Internet의 의미 X
- 아키텍쳐는 인터넷을 따르고 UI는 C/S를 따르는 구조
2) Excutable Internet
- 넷 기반의 풍부하고 상호 대화가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사용자 가까이에 실행코드를 두고 실행하는 인텔리전트 응용프로그램
- 클라이언트에 기반을 두고 다이나믹한 서비스를 구현해 온라인에서 작업 내용을 향상
3) Extended Internet
- 실세계를 감지하고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기와 응용프로그램
- 인터넷이 가능한 칩이 장착된 모든 기기와 인간관계 등 상호관계의 연결성을 강화해 인터넷 생활을 하는 것
4) X인터넷의 등장배경
- 기업 환경의 IT 아키텍쳐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메인 프레임은 비용절감과 기능성 측면에서 낮은 효과를 나타내어 C/S 환경으로 다운사이징 하였다.
- C/S 환경은 기능성 측면에서는 높은 효과를 가져왔지만 FAT CLIENT로 인하여 비용절감 면에서는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비용절감 효과를 도모한 웹환경은 기능적인 면에서는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이러한 배경으로 C/S의 기능성과 웹의 비용절감이라는 장점을 수용한 개념이 X인터넷이다.
II. X인터넷의 장점
- 화면을 구성하는 UI 부분은 C/S를 따르고 데이터베이스 접근 및 JSP, EJB등의 개발 방법을 지원
- UI 컴포넌트를 제공하므로 응용프로그램의 빠른 개발과 동일한 UI를 제공
- 필요한 정보만을 혹은 바뀐 정보마을 서버와 주고 받으므로 기존 웹 페이지의송수신 교환이 필요 없다.
III. 발전단계
1) 실행단계
- 대화형 경험을 충족 시켜주는 지능형 응용프로그램 단계
2) 확장 단계
- 인터넷 단말기 및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제 세상을 이해하고 분석하고 통제하는 단계로 정의
IV. 도입효과
1) 기능적인면
- C/S 장점을 수용하여 사용자 친근한 인터페이스 제공
- 빠른 응답시간과 네트워크 대역폭의 최소화
- UI 에서의 HOT KEY 사용
- 기존 전산자원의 재사용 가능
- UI 배포 및 관리 용이
2) 개발 및 운영의 생산성 측면
- 인터넷을 구축하는 개발방법과 유지보수 비용 절감
- 새로운 기술의 빠른 습득과 적용 및 기존 기술 재사용
V. 국내시장 동향
- 유연한 가격 정책과 커스터마이징에서 앞선 국내업체들이 상당부분 유리한 고지를점유
- 쉬프트소프트는 X인터넷 솔루션과 웹 리포팅 솔루션이 통합된 심포닉스를 출시
- 컴스퀘어는 타사보다 뛰어난 기술을 바탕으로 트러스트 폼을 출시하여 국내 파트너업체들과 협력관계를 강화
- 투비소프트는 금융권 및 통신업종을 중심으로 모바일 시장까지 확장 할수 있도록 솔루션 기능을 강화
VI. 결언
- X인터넷은 기존 서버위주의 웹 테크놀러지가 인터넷의 흐름을 적절하게 시스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해결 해 줄것이다.
- 현재 WAS사업을 강화하고 있는 DB벤더들이 향후에는 X인터넷 개발 툴까지 포함하는 스위트 형태의 제품을 공급하게 될 전망
VII. X인터넷 선정시 고려사항
1) 솔루션 운영환경
- 다양한 고객 요구사항을 반영 할 수 있는 ActivX 기반
2) 유연성과 확장성
- 데이터 통신은 XML기반
3) UI 기능 구현 범위
- 키보드 인터페이스 및 사무용 소프트웨어 연동여부 확인,탭 UI
'Information Tech. > Solu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에 대한 고찰 (0) | 2010.09.02 |
---|---|
3D CAD solution (2) | 2010.09.02 |
WEB 2.0 정리 (0) | 2010.09.01 |
현대 컴퓨팅 40년: 미래를 위한 회고 - Bill Howard (0) | 2010.08.26 |
[전자문서] 논란 많던 전자문서 보존 포맷, PDF/A로 세계 표준 확정 (0) | 2010.08.26 |